[현장잇슈] 북한산 러브버그 돌연 잠적? 해발 836m 정상에 올라보니…<br /><br />이곳은 북한산 국립공원 탐방로 입구입니다.<br /><br />올여름 들어 붉은등우단털파리, 일명 러브버그가 서울과 경기 곳곳에 동시다발적으로 출몰했는데요.<br /><br />이곳 북한산 정상에도 떼 지어 나타났다는 목격담이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그러다 최근 폭우에 대거 사라졌다 다시 무더위가 시작되며 또 나타날 수 있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저희가 직접 산 정상까지 올라가 추적해 보겠습니다.<br /><br /> "(러브버그 들어보시거나 직접 본 적 있으세요?) 지금 러브버그가 되게 많이 있었다가 없어졌다고 해서 눈으로 한번 보고 싶어서 왔어요. 며칠밖에 못산다고 하니까, (sns)사진 보고 한번 눈으로 멀리서라도 보고 싶어서.."<br /><br />등반 3분의1 지점 정도에 왔는데 러브버그가 대량 발생하다 보니까, 국립공원 측에서 이렇게 벌레가 어떤 벌레인지 알리기 위해 안내문까지 붙여놨습니다.<br /><br />애초에 대발생 지역이 아니었던 북한산 정상마저, 러브버그 떼가 나타나면서 올해는 처음으로 국립공원 측에서 모니터링 일지를 작성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등반 1시간 만에 산 중턱 지점에 다다랐는데요. 평소와는 달리 러브버그 떼를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보통 러브버그들은 이렇게 두꺼운 낙엽층을 좋아한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아직은 거의 보이지 않는데, 게다가 털파리과에 속해서 포식자들을 피해 높은 지대를 좋아한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좀 더 올라가 보겠습니다.<br /><br /> "비에 다 떠내려가고 죽으면 그 개체가 살아남았겠어요, 지금까지?"<br /><br /> "새까맣게 달라붙는데, 쫓았는데 이정도야. 지난주에는 세 번 올라왔는데, 다 이랬어. (이런 광경을 처음 보신 거죠 살면서?) 네. (땅) 밟으면 다 러브버그였어. (입에 들어가거나 옷에 침투할 것 같은데…) 안 떨어져."<br /><br /> "저기서 봤는데 저를 공격했어요." (러브버그에 대한 정보 아세요?) 전혀 알지도 못하고, 들어본 적도 없어요."<br /><br />해발 836미터, 등반 2시간 반 만에 이곳 백운대 정상에 다다랐습니다.<br /><br />보시는 것처럼 간혹가다 이렇게 한두 마리가 나타나서 옷에 달라붙어서 잘 떨어지지 않고 있고요.<br /><br />이곳 바위를 새까맣게 뒤덮었던 러브버그 떼, 이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. 온데간데(없이) 깨끗한 모습이고요.<br /><br />간혹가다 물웅덩이를 비롯해 나무 덱 바위 바닥 부분에 러브버그 사체로 추정되는 물체들이 곳곳이 보이는 정도입니다.<br /><br /> "5일에서 7일 정도 생존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비도 오고 생명이 다하지 않았나. 비가 내리는 기점으로 많이 사라졌기 때문에…여기 근무한 지 만 4년이 돼가는데 이렇게 많이 출현한 거 처음이에요, 민원 들어올 정도로. '대단한 사건이다'라고 생각했습니다."<br /><br /> "까맣게 엄청 덮여있다고 해서 사실 걱정하고 왔는데 생각보다 있지 않았어요."<br /><br />그럼 왜 북한산 꼭대기에 이들이 나타났을까요?<br /><br />그 하나의 이유로 바로 깨져버린 생태계 균형이 꼽힙니다.<br /><br />국내 한 연구팀에 따르면, 2년 전 대벌레와의 한차례 전쟁을 치렀던 북한산 한 자락에서 대벌레 퇴치를 목적으로 방역을 했다, 웬만한 곤충들은 다 죽었는데 이 낙엽층 밑에 사는 러브버그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결과적으로 러브버그를 잡아먹을 포식자까지 다 없애버려서, 적정 개체수보다 많아졌고 이 러브버그들이 북한산 위아래를 이동하며 산란을 많이 했을 거란 분석인데요.<br /><br />게다가 다른 도심 출몰지역보다 고도가 훨씬 높고 기온이 낮기 때문에, 이곳에서 마지막 대규모 발생해서 비행하고 사라졌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 "북한산에서 대발생한 양상은 최근 장마가 끝나는 시점에 그 전에 이제 우화하지 못했던 마지막 개체군들이 한꺼번에 모여서 신혼 비행을 한 걸로 추정하고 있습니다. 현재 도심 지역에는 거의 다 안정화 단계가 됐고, 올해는 러브버그 대발생 사태는 좀 진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과거 매미나방에 이어 대벌레, 그리고 올해 러브버그까지. 매년 곤충 대발생 이슈는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때마다 화학적 방제로 대처해 왔지만, 그게 또 다른 생태계의 균열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죠.<br /><br />발 빠른 대처도 중요하겠지만, 지역마다 실태를 공유하고 대규모 발생 원인을 분석해 알맞는 방제 기법들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이채연 기자 touche@yna.co.kr<br /><br />- 영상취재 : 양재준, 송철홍<br />- 편집 고현지<br /><br />#러브버그 #북한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